꼭 알아야 할 경제 상식

관세는 누가 내는가? 트럼프는 왜 관세에 집착하는가?

경제박사 노흐구 2025. 4. 5. 15:15

 

 

전 세계를 대상으로 추가 관세 폭격해버리는 트럼프

관세란, 한 국가가 외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상품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즉, 수입품에 붙는 세금으로, 외국산 제품이 국내 시장에 들어올 때 특정 금액을 정부가 징수하게 됩니다.

 관세를 왜 부과하나요? (의도적으로 부과하는 이유)

1. 자국 산업 보호

  • 외국 제품이 너무 싸게 들어오면, 국내 회사가 경쟁에서 밀립니다.
  • 그래서 외국 물건에 관세를 붙여 가격을 올려, 국내 기업이 피해 보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예: 외국산 농산물이 너무 싸게 들어오면 → 국내 농민이 망할 수 있음 → 그래서 외국 농산물에 관세 부과 → 국내산과 비슷한 가격 유지

2. 일자리 보호

  • 국내 기업이 무너지면 일자리도 줄어듭니다.
  • 관세를 통해 자국 기업을 살리면 고용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세수 확보

  • 정부가 세금 수입을 늘릴 수 있는 수단입니다.
    (다만, 최근엔 세수보단 보호 목적이 큼)

4. 외교·정치적 압력

  • 보복 관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어떤 나라가 자국 제품을 차별하면, 보복성 관세로 대응합니다.

예:중국이 한국산 제품을 막으면 → 한국도 중국산 제품에 고관세로 맞대응

 

미국의 추가 관세에 괴로워 하는 각 국가 및 연합

 미국 추가 관세에 따른 각 국의 영향

1. 무역 불이익

자국 상품이 특정 국가에서 비싸지면 자국 상품의 경쟁력이 하락하고 수출이 감소하게 됩니다.

2. 외교 마찰

자국 기업 피해가 커지면, 외교적 항의 또는 보복 관세로 대응하게 되며 이에 따라 무역 갈등이 발상하게 됩니다.

3. 경쟁 성장률 하락 압력

수출이 줄면 경제 전체 성장에도 타격을 입게 되며 한국과 같은 수출 중심 국가에는 큰 타격이 됩니다.
 

한국이 취할 수 있는 입장과 영향

입장: 중립적 입장 유지 노력
한미동맹을 유지하면서도, 수출 중심 국가로서 미국 보호무역에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영향:

  • 반도체, 철강, 자동차 부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수출 타격
  •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화로 인한 중소기업 피해
  •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 압력에 따라 투자 재조정 필요

정리하겠습니다.


관세란? 수입 상품에 붙는 세금 (입장료 개념)
왜 붙이나요? 국내 산업 보호, 일자리 유지, 외국에 대한 압력
의도적으로 부과하나요? 정부가 전략적으로 결정해서 부과하거나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