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 흑우가 되지 맙시다

재테크 꿀팁 모아

2025년 청년도약계좌 무조건 가입해야하는 이유! 청년들 가입 안하고 뭐해~!

경제박사 노흐구 2025. 1. 11. 18:31

흔히 1억 만들기 통장으로 알려진 청년 전용 적금 상품인 청년도약계좌의 혜택과 조건이 2025년 대폭 개편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확대!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이 저축하는 돈과 정부 지원금을 합쳐 최대 70만원(최대 월 40만원 정부지원)씩 연리 3.5%로 저축하여 10년 후 1억원을 타갈 수 있도록 하는 청년 전용 적금 상품은 2024년 지난 해 누적 157만명이나 가입하며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입 가능한 청년이 대략 600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아직 가입하지 않은 청년이 더욱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연소득에 따라 초과되는 기여금을 지금 받지 못한다는 여러 지적 탓인지 2025년 올해부터 크게 개편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개편되는지 알아볼까요?

 

2. 2025년부터 어떻게 달라지는가?

  • 기여금 지원 확대

2025년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혜택

 

월 최대 3만 3천원으로 상향되었으며 결과적으로 5년 만기 시 기존 대비 최대 60만원을 추가로 더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납입한 만큼 기여금 전부 지급되며, 연 최대 9.54%의 수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3년 이상 유지시 혜택 강화
    기존에는 만기(5년) 도래 전 중도 해제 할 경우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을 환수하였으나 2025년부터는 만기(5년)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을 유지(60%)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상품 수익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성실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에는 개인신용평가점수에 대한 별도의 가점이 없었으나 2025년부터는 2년 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최소 5~10점을 부여받게 됩니다(NICE, KCB사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는 자동으로 연결된다고 하네요.)

  •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 원금의 40% 이내로 부분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점은 25년 하반기부터 가능하다고 합니다)

최근 원화 가치 하락세로 저축보다는 달러로 바꾸는 경향이 늘고있지만 좋은 혜택이니 놓치지 말고 가입해보시길 바랍니다.

자세한 조건과 절차는 정부24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확인하시고 취급 은행에서 신청해보세요.

 

https://www.gov.kr/portal/rcvfvrSvc/dtlEx/B55370100023

 

서비스 상세 | 보조금24 | 정부24

보조금24 맞춤안내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의 자격정보, 서비스 수급 정보의 실시간 확인을 위한 정보연계 동의가 필요합니다. 1.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회원의 주민등록번호로 행정기관

www.gov.kr

https://ylaccount.kinfa.or.kr/yltInit

 

[자료 출처]:정부24, 서민금융진흥원